주파수 영역 분석에 대한 실용적 입문
이 예제에서는 기본적인 주파수 영역 신호 분석을 수행하고 해석하는 방법을 보여줍니다. 이 예제에서는 신호의 주파수 영역 표현을 사용하는 경우와 시간 영역 표현을 사용하는 경우의 이점을 비교하여 설명하고 시뮬레이션된 데이터와 실제 데이터 사용하여 신호의 기본 개념을 다룹니다. 또한 'FFT의 크기와 위상은 무엇을 의미합니까?', '내 신호가 주기적입니까?', '전력은 어떻게 측정합니까?', '이 대역에 신호가 하나 또는 둘 이상이 있습니까?' 등의 기본적인 질문에 대한 답을 제시합니다.
주파수 영역 분석은 신호 처리 응용에서 가장 중요한 툴입니다. 주파수 영역 분석은 통신, 지질학, 원격탐사, 영상 처리와 같은 영역에서 널리 사용됩니다. 시간 영역 분석은 신호가 시간이 지남에 기본적인 분석 따라 어떻게 변하는지를 보여주는 반면, 주파수 영역 분석은 신호의 에너지가 주파수 범위에서 어떻게 분포되는지를 보여줍니다. 주파수 영역 표현에는 원래 시간 신호를 복원하기 위해 각각의 주파수 성분에 다 적용되어야 하는 위상 변위에 대한 정보도 포함됩니다.
신호는 변환이라고 하는 수학 연산자 쌍을 사용하여 시간 영역과 주파수 영역 사이에서 변환될 수 있습니다. 이에 대한 예로 푸리에 변환을 들 수 있으며, 이 변환은 함수를 여러(무한대일 수 있음) 사인파 주파수 성분의 합으로 분해합니다. 주파수 성분의 '스펙트럼'은 신호의 주파수 영역 표현입니다. 푸리에 역변환은 주파수 영역 함수를 시간 함수로 다시 변환합니다. MATLAB의 fft 함수와 ifft 함수를 사용하면 신호의 이산 푸리에 변환(DFT)과 이 변환의 역을 각각 계산할 수 있습니다.
FFT의 크기와 위상 정보
신호의 주파수 영역 표현에는 각 주파수에서의 신호 크기 및 위상에 대한 정보가 들어 있습니다. 이것이 FFT 계산의 출력값이 복소수인 이유입니다. 복소수 는 가 성립하는 실수부 과 허수부 를 가집니다. 의 크기는 $" /> 으로 계산되고, 의 위상은 $" /> 로 계산됩니다. MATLAB 함수 abs 와 angle 을 사용하여 임의 복소수의 크기 및 위상을 구할 수 있습니다.
오디오 예제를 사용하여 신호의 크기와 위상이 어떠한 정보를 포함하는지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이를 수행하려면 15초간의 어쿠스틱 기타 음악이 든 오디오 파일을 불러오십시오. 오디오 신호의 샘플 레이트는 44.1kHz입니다.
fft 를 사용하여 신호의 주파수 성분을 확인합니다.
FFT의 출력값은 신호의 주파수 성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복소수 벡터입니다. 크기는 다른 성분에 비해 상대적인 주파수 성분의 강도를 표시합니다. 위상은 모든 주파수 성분이 시간상 어떻게 정렬되는지를 표시합니다.
신호에 대한 주파수 스펙트럼의 크기와 위상 성분을 플로팅합니다. 크기는 로그 스케일(dB)로 간편하게 플로팅됩니다. 주파수의 연속 함수를 볼 수 있도록 위상은 unwrap 함수를 사용하여 펼쳐집니다.
푸리에 역변환을 주파수 영역 벡터 Y에 적용하여 시간 신호를 복원할 수 있습니다. 'symmetric' 플래그는 ifft 에 실수 값을 갖는 시간 신호를 처리하고 있음을 알립니다. 그러면 이 함수가 계산에서 수치상의 부정확성으로 인해 역변환에 나타나는 작은 허수 성분을 0으로 처리합니다. 원래 시간 신호 y와 복원된 신호 y1이 거의 같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해당 차이의 노름(Norm)이 대략 1e-14임). 이러한 두 신호 간의 매우 작은 차이는 위에서 언급한 수치상의 정확도로 인한 것이기도 합니다. 변환되지 않은 신호 y1을 재생하고 들어봅니다.
지식 경영 공장
어떤 선을 긋는 구체적인 기법을 설명드리기는 그렇고, 기본적으로 제가 차트를 볼 때 중요하게 보는 중점사항을 설명드리는 것으로 대체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지금부터 써 내려가는 글은 지극히 저의 주관적인 생각이므로 어처구니 없을 수 있습니다.
BAB = Buyers Advantage Barrier
매수자에게 유리한 매수 장벽(범위) 이라는 뜻으로, 주식 투자자들이 매수할 때 해당 장벽 내에서 천천히 매수 해 나가면 수익을 낼 확률이 높은 구역을 말합니다. 즉, BAB 라는 것은 기법의 이름이 아니라, 단순히 매수해서 시간을 투자하면 수익을 내기에 유리한 "지역" 이라는 뜻입니다. 어떤 한 포인트의 매수타점이라기 보다는 "범위" 라는 개념 이라고 할 수 있죠.
BAB는 결국 매수 범위의 영역임으로, 매수 범위의 영역을 산정하기 위해서는 "차트의 추세나 또는 수급을 통한 유리한 매수 타점 산정"이 필요 합니다.
BAB는 세력들이 작전을 포기하거나 또는 실패해서 빠져나갔을 경우를 대비해야 하기 때문에, "범위"를 산정하는 것입니다. 즉, 추세 분석을 통해 차트상으로 유리한 타점이 나오면, 그 타점 아래에서 부터 매수 기회가 오면 매수해나가는 것이 BAB의 원리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세력의 이탈까지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시간이 오래 걸릴 수도 있지만, 투자한 시간과 반비례로 기본적인 분석 투자 실패에 대한 확률은 떨어집니다.
세력의 이탈, 작전의 실패까지 고려하기 때문에 일정 스팟을 노린다기 보다는 범위를 잡아서 매수하는 것이지요.
그래서 BAB 란, 차트 추세 분석을 통해서 얻어진 매수 가격대이기 때문에, 결국 차트 추세 분석이 선행되어야만 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1. BAB 기법은 차트의 추세를 기반으로 유리한 매수 가 기본적인 분석 격대를 산정하는 것을 말 한다.
차트는 3가지 추세가 있습니다.
상승 추세 / 횡보 추세 / 하락 추세.
네. 당연합니다. 시작 부터 쫄리는군요.
상승추세에서 우리들이 수익을 낼 수 있는 구역은 어디일까요?
상승추세에서 수익을 낼 수 있는 구역은, 거의 대부분의 음봉입니다.
하는 전략을 펼칠 수 있는 것이죠.
라고 하잖아요? 우상향 차트에서는 주가가 떨어지면 매수할 수록 수익을 낼 확률이 높아집니다.
그리고 떨어지면 매수하는 것 뿐만 아니라 상승 추세에서는 공격적으로 매수도 가능합니다. 흔히 우리가 주식 방송을 보면
"나는 좋아하는 매수 타점이 있어."
라는 말을 합니다. 그런데 주식 초보 개념편 글을 잘 읽어보신 분들은 아시겠지만, 타점이 1개로는 부족합니다. 타점은 여러가지가 있어야 합니다. 그래서 "추세"를 기반으로 한 차트 기법을 사용하는 저로서는, 여러가지 타점을 잡을 수 있었습니다.
타점이 여러개면, 1종목을 가지고 여러번의 수익을 내는 것도 가능합니다.
하지만 타점이 하나 이면, 매우 좋은 종목에서 꼴랑 5% 먹고 수익 내었다고 좋아하고 끝내고는 하죠.
매수 타점을 여러개 가지고 있다는 것은 용도에 맞게 칼을 사용하는 것과 같습니다.
회 처먹는데, 장검 들고 회 칠 수는 없잖아요?
상승 추세에서는 어짜피 차트가 상승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주로 저는 공격적인 매수를 하는 편입니다.
주식 초보 또는, 주식에서 수 없이 털려서 너무나도 보수적이 된 주식 좀 오래 한 사람들은 잡을 수 없는 타점에서 산다는 이야기이죠.
주식에서 큰 수익을 내 주는 상황은 거진 공격적인 매수일 때 발생합니다.
수비적이고 보수적인 매수 방법을 사용했을 때는, 매도를 잘 하지 못하면 그대로 지옥행이기 때문이지요.
제가 가끔 차트를 분석 할 때
"추세를 상승 추세로 돌려 놓았다."
라는 표현을 쓰는 경우들이 있는데요. 이것은 단기적으로는 모르겠지만 중장기적으로 차트 자체가 우상향 차트로 변화될 가능성이 높다는 뜻이며 이것이 바로 위의 3가지 추세 중에 상승 추세에 해당합니다.
아무튼 BAB 라는 것은 추세를 기반으로 합니다.
결국 추세를 해석하는 본인만의 기준이 필요하다는 뜻입니다.
2. 추세를 볼 때 필요한 분석 기준 요소들.
매집의 여부를 판단해야 하는데요. 차트의 형세를 보아서 매집이 되어있을 가능성을 점칩니다.
매집이 되었는지 안되었는지는 그 누구도 알 수 없습니다.
단순히 차트의 형세가 매집이 되었을 가능성이 높다는 것에 기반합니다.
요즘 "거래량은 속일 수 없다." 라는 명언으로 수 많은 개미 투자자들이 주식판에서 망하는 모습을 많이 볼 수 있는데요.
거래량이 많이 들어오는 것은 중요합니다.
다만 언제 들어오느냐도 따져봐야 한다는 것이지요.
저는 거래량만을 주구장창 외쳐대는 것에 반대 할 뿐, 거래량이 중요하다는 것에는 공감합니다.
하지만 거래량 기본적인 분석 분석이란 많은 분석 기준 요소들 중에서 하나 일 뿐, 그것을 전부라고 여기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우리가 "조정 기간" 이라는 말을 많이들 사용하죠?
추세라는 것은 조정 기간과도 밀접한 관계를 가진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추세를 볼 때는 조정기간도 고려합니다.
즉 너무 빠른 상승 보다는 조정 기간을 거친 상승에 배팅하는 편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D. 세력들의 주가를 높이는 높이
세력들이 주가를 어느 정도 높여서 차트를 만드는지에 따라서 그들의 의중을 추측해 봅니다.
즉, 주가의 높낮이 역시 추세를 분석하는데 고려한다는 것 입니다.
수급의 흐름은, 수급만을 이용한 BAB가 있고, 수급을 제외하고 차트만 보는 BAB가 있습니다.
위의 A~D까지의 모든 분석의 결과가 양호하면 다행이지만, 그런 차트는 생각보다 별로 없습니다.
주식 전문가들이 맨날 하는 소리가
라고 하지만, 제가 볼 때 별로 살 만한 종목이 없습니다.
그래서 수급이 너무 좋으면, 그것만이라도 좋다고 생각해서 수급만을 이용해서 BAB를 산정하기도 합니다.
이런 경우는 차트를 전혀 고려하지 않기 때문에 위험성은 있지만, 보수적인 매수 전략으로 그 위험성을 상쇄합니다.
굳이 차트가 별로인데, 수급만을 이용해서 BAB를 분석하느냐고 물으신다면, 수급이 너무 좋은 상황에서, 해당 종목을 그냥 지나치기는 다소 아쉽기 때문입니다. 저도 인간이기 때문에 논리적으로는 수급만 보고 투자하는 것이 비합리적이라는 것을 알지만, 그런 종목들도 별로 없기 때문에 그거라도 건지려고 시도하는 편입니다. 논리적으로는 따지면 비합리적인 방식 이기는 하지요. 타협해서 투자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하지만 이런 경우에는 매우 보수적인 분할 매수 전략을 사용합니다.
이와 반대로 수급을 고려하지 않는 A~D까지의 분석 결과가 우수할 경우 들어가는 차트추세에 맞게 BAB 가 있습니다. 수급만을 이용한 BAB 보다 신뢰성이 더 높습니다. 하지만 차트 추세 BAB는 자주 포착되는 것이 아닙니다.
그리고 A~E까지 추세부터 수급까지 완벽한 종목이 걸리는 경우가 있습니다. 솔직히 1년에 몇 종목 걸릴까 말까 하다고 보시면 됩니다. 그것을 운 좋게 발견을 했다면, 그 때 부터는 매우 과감한 투자를 하게 되겠죠.
3. BAB는 보조지표를 전혀 사용하지 않는다.
사실, 저는 보조지표를 전혀 보지 않습니다.
어처구니 없으시겠지만. 정말 보지 않습니다.
주식 초보 강의 차트편을 모두 읽어보시면 저의 전반적인 마인드가 보조지표에 큰 의미를 두지 않고 있다는 것을 아실 수 있을 겁니다. 그리고 차트쟁이들에 대해서 별로 부러워하거나 존경스러워 하지 않는 것도 느끼실 수 있을 겁니다. 왜냐하면 차트라는 것은 온갖 복잡한 분석들이 결국 매우 단순한 분석의 결과와 일치하는 점에 오게 되는데, 그 이유는 차트라는 것은 결국 불완전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불완전한 정보를 제공하기 때문입니다. 차트만 가지고 왈가왈부 하는 사람들의 99%는 주식 한참 재밌어하는 초보인 사람들인 경우를 수 없이 많이 보아왔습니다. 그들은 말이 항상 바뀝니다. 분석의 결과에 따라서 자신의 의견을 바꿉니다.
그러나 저는 바꾸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주가가 오르고 내리고에 영향을 받아서 수익을 낸다기 보다는, 각 추세의 특징에 따라서 전략적으로 들어가서 수익을 내는 스타일이기 때문입니다. 그런 개념에서 BAB는 전략적인 수익을 위한 기법이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제가 보조지표에 대해서 글도 적기는 하지만, 그것은 보통 여러분들이 관심을 가지고 있으니 글을 적는 것일 뿐, 제가 그리 선호하는 글은 아닙니다.
제가 가진 차트 기법들이 다양하다 보니, 보조지표를 보고 하는 기법들도 있기는 있습니다만, 결국 제가 가진 투자금에서 큰 비중으로 들어갈 때는 보조지표는 전혀 고려하지 않습니다.
오직 쌩얼굴의 차트만 봅니다.
그리고 그것에서 BAB 가 나오는 것이지요.
글이 조금 이해가 안되시는 분들이 많으실 겁니다.
왜냐하면 제가 BAB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을 적은 것은 아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제가 BAB를 위해서 주로 고려하는 사항들이 무엇인지 적어두었다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고려할 사항들이 한 두 가지가 아닙니다.
물론 제가 보는 차트 기준으로 수익을 무조건 내는 것 이 아닙니다.
제가 그런 방법이 있었다면 바로 전재산 투자해서 이건희 회장 되어있었게요?
저의 기준이 그렇다는 것입니다.
여러분들도 여러분들의 기준을 만들어 보십시오.
다만 차트 기법을 초보수준에서 벗어난 수준으로 만들고 싶다면
적어도 차트를 보면서 자신만의 기준으로
"이 차트는 아직 세력들이 개입했는지 안했는지 추측할 수 없는 상황이야."
"이 차트는 시간이 조금 오래걸릴 차트같아."
라는 판단을 내릴 수 있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이 판단은 변하면 안됩니다.
차트가 올라가는 것을 보고 "추세가 상승 추세다.", 차트가 내려가는 것을 보고 "세력이 나갔다."
등등의 헛소리를 하지 말라는 것입니다.
자신이 분석했을 때 "상승 추세이면 당연히 매수" 입니다.
그렇죠? 앞으로 단기간 주가가 빠지던 간에 추세가 상승 추세인데, 사서 기다리면 수익이 날 것 아닙니까?
그런데 뭐하러 팔고 앉아 있냐 이것이지요.
상승 추세라고 자기가 분석해 놓고, 왜 산 다음에 -10%, -20%에 쫄려서 손절치냐 이것 입니다.
추세를 분석할 때는, 변하지 않을 판단으로 분석하는 것 입니다.
변하지 않을 판단이 생긴다는 것은 그 만큼 멘탈이 강하다는 뜻이고, 멘탈이 강하다는 뜻은, 자신이 사용해온 방법으로 어느 정도 높은 수익률을 가져왔다는 뜻입니다.
차트에 대해서 연구하시고, 자신만의 기법(?)을 만들고자 하는 분이라면, 제가 가진 차트에 대해서 접근하는 방향과 차트에 대한 태도 등이 도움이 되실 것이라고 생각됩니다.
영역 I로 분류되는 요원은 수립된 절차에 따라 미리 정의된, 일반적으로 단순한 단일 채널에 대해 기계의 진동 상태 감시 활동을 수행할 수 있다. 모든 활동은 지시에 따라 수행되어야 한다.
영역 I로 분류되는 요원은 최소한 다음을 할 수 있어야 한다.
- a) 진동의 기본 원리를 알고, 서로 다른 측정 단위를 인지
- b) 적절한 수준의 반복성을 보장하는, 신뢰성 있는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는 능력
- c) 수집된 데이터에서 오류를 식별할 수 있는 능력
- d) VA 장비를 사용하기 위해 사전에 정의된 측정 설정을 가져오고, 데이터를 분석 시스템으로부터 컴퓨터 기반 시스템으로 전달할 수 있는 능력
- e) 사전에 수립된 경보 설정에 대해 전역치 또는 단일값 진동 측정을 비교할 수 있는 능력
- f) 단일값 진동과 경향에 대한 기준으로부터의 편차를 규명할 수 있는 능력
- g) 장비 상태의 시각적 관찰에 대한 보고
요원은 다음에 대해서는 책임을 지지 않는다.
- 수행될 분석 또는 진단을 위한 센서, 시험방법 또는 기술의 선택
- 수용, 주의, 경고, 작동 정지 등과 같이 사전에 설정된 기준에 대해 상태를 규명하는 것 이외의 시험 결과의 평가
진동, 영역 II 요원에게 요구되는 역량과 기술
영역 II로 분류되는 요원은 수립되고 인정된 절차에 따라 위상 트리거(trigger) 신호가 있거나 또는 없이 단일 채널 측정을 사용한 산업 기계 진동 측정과 기본 VA를 수행할 수 있다. 영역 I에서 기대하는 모든 지식, 경력과 기술이 요구되며, 추가적으로 최소한 다음을 할 수 있어야 한다.
- a) 통상적인 데이터 수집 과정에서 영역 I의 요원에 의해 수행되는 측정 활동을 정의할 수 있는 능력
- b) 신호 분석의 기본 원리를 이해하고 사용할 수 있으며, 감시되는 기계에 적절한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취득 및 분석 설정을 정의할 수 있는 능력
- c) 고유 주파수를 결정하기 위한 기본(단일 채널) 충격 가진 시험을 수행할 수 있는 능력
- d) 시방서와 표준에 따른 통상적인 분석과 승인 시험으로부터 시험 결과를 설명하고 평가할 수 있는 능력
- e) 위상을 사용하거나 혹은 위상이 없이 강체 회전체에 대한 단일 평면 평형잡기를 수행할 수 있는 것을 포함하여 일반적인 결함의 징후를 진단하고, 기계에 대한 경력 분야에 부합하는 기본적인 교정 작업을 제안할 수 있는 능력
- f) 영역 I의 요원에게 기술적 지침을 제공하고 지도할 수 있는 능력
진동, 영역 III 요원에게 요구되는 역량과 기술
영역 III으로 분류되는 요원은 영역 I과 영역 II로 분류되는 요원에게 기대하는 모든 지식, 경력과 기술이 요구되며, 추가적으로 최소한 다음을 할 수 있어야 한다.
- a) 결함 진단 목적을 위해 통상적인 상태 감시 프로그램과 통상적이지 않은 조사를 설계하고, 지시하고 수립할 수 있는 능력
- b) 휴대용 감시 시스템, 영구적으로 설치되는 감시 시스템 및 장비 보호 시스템을 위해 적절한 진동장비 하드웨어, 소프트웨어와 처리를 규정할 수 있는 능력
- c) 기계의 VA에 대한 원리와 기술에 대해 깊은 지식을 보유하고, 일반적으로 직면하는 사안의 범위를 넘어 의심되는 결함에 대해 초기 진단을 수행할 수 있는 능력. 이것은 정상 상태와 과도 상태하에서 주파수 스펙트럼, 시간 파형과 궤도(orbit), 전달 함수, 기본적인 작동 중 변형(operatingdeflection shape), 그리고 가속도 포락선(enveloping)의 사용 등을 포함한다.
- d) 상태 감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경고 설정을 평가하며, 업무 절차를 문서화하고, 진동 승인 시험절차를 규정할 수 있는 능력
- e) 현장에서 강성 회전체 2면 평형잡기를 포함하여 기계의 시정 조치를 시작하고 유효하게 할 수 있는 능력
- f) 기계 작동에 대한 제한 사항을 제시할 수 있는 능력
- g) 통상적인 데이터 수집을 통해 발견된 사안을 규명하고 검토하기 위해, 필요시 다른 상태 감시 기술을 이해하고 지시할 수 있는 능력
- h) 영역 I과 영역 II의 요원에게 기술적 지침을 제공하고 지도할 수 있으며, 고용주 또는 고객과의 합의에 따라 일반적으로 주어진 자격 밖에 있는 어떤 의무를 수행할 역량이 있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는 능력
영역 III의 요원이 예산의 책정, 비용 타당성의 준비, 그리고 운영 요원의 개발 등과 같이 요구되는 운영 기술에 대해 필요한 역량을 가졌다는 것을 보장하는 것은 고용주 또는 고객의 책임이다.
진동, 영역 IV 요원에게 요구되는 역량과 기술
영역 IV로 분류되는 요원은 영역 I, 영역 II와 영역 III의 요원에게 기대하는 모든 지식과 기술이 요구된다. 추가적으로 상태 감시 전략을 지시하고 심사할 수 있어야 한다.
고용주는 영역 IV의 요원이 다양한 기계 상황과 기술에 대한 넓은 기술적 지식과 경력, 그리고 그것들을 선택할 수 있는 깊은 지식을 가지고 있을 수 있다는 점을 인식해야 한다.
추가적으로 영역 IV로 분류된 요원은 최소한 다음을 할 수 있어야 한다.
- a) 주파수 응답 함수, 위상과 기여도(coherence)와 같은 다중 채널 스펙트럼 결과의 측정 및 해석을 포함한 진동 이론과 기술을 적용할 수 있는 능력
- b) 궤도 및 그들의 한계를 포함하여 주파수 및 시간 영역 신호 처리에 대한 이해를 포함한 신호 분석을 이해하고 수행하는 능력
- c) 시스템, 부품과 조립체의 고유 주파수, 모드 형상 및 감쇠를 결정할 수 있는 능력
- d) 기계와 연결 구조물의 작동 중 변형 형상을 결정하고 평가할 수 있으며, 시정 수단을 제시할 수 있는 능력
- e) 진동 분석, 매개 변수의 규명, 그리고 결함 진단을 위해 일반적으로 알려진 고급 기술을 사용할 수 있는 능력
- f) 회전체-베어링 동역학의 기본 원리를 진동 진단에 적용할 수 있는 능력
- g) 상급 수준의 2면 영향 계수 또는 정적/커플 평형잡기 이론에 대한 이해와 적용
- h) 부품 교환 또는 수리, 절연, 감쇠, 강성 변화 및 질량 변화를 포함하는 시정 활동 또는 설계 변경을 제안할 수 있는 능력
- i) 국제표준 또는 다른 문서에 출판된 지침과 시방서 코드를 해석하고 평가할 수 있는 능력
- j) 왕복동식 기계 및 스크루 압축기와 같은 기계에서 가스 맥동에 의해 발생한 진동을 인지할 수 있는 능력과 필요한 매개변수를 측정하고 교정 방법을 제안할 수 있는 능력
- k) 탄성 마운트와 다른 고정 및 지지 수단에 대한 시정 활동을 제안할 수 있는 능력
트라이볼로지, 영역 I 요원에게 요구되는 역량과 기술
영역 Ⅰ로 분류되는 요원은 제정 및 승인된 절차에 따라 현장 윤활제 분석을 수행할 수 있는 자격이 부여되며, 다음과 같은 사항을 할 수 있어야 한다.
- a) 적절하게 제정된 절차에 따라 사전에 프로그램된 과정으로 윤활제를 주입하고 재윤활하며 윤활제를 검사한다.
- b) 적절한 방법으로 윤활 장치와 장비를 유지 관리한다.
- c) 영역 Ⅱ 또는 그 이상 자격의 요원에 의해 적절하고 안전하며 비해체적(non-intrusive)이라고 판단된 표본화 장치를 설치한다(임의의 해체적 표본화 장치의 설치는 반드시 고객에 의해 인정된 적절한 자격을 갖춘 요원에 의해 시행되어야 한다).
- d) 분석 계기의 보정을 하고, 작업이 필요한 곳의 해당 요원에게 보고한다.
- e) 사전에 프로그램된 과정에 근거하여 휴대용 윤활제 분석 계기를 작동하고 관리한다.
- f) 휴대용 윤활제 분석 계기로부터 시험 데이터 원본을 다운로드하고 업로드한다.
- g) 제정된 절차에 따라 기계 계/시스템, 장비 및 저장 용기로부터 윤활제 표본을 채취한다.
- h) 제정된 절차에 따라 운송용 또는 시험용 표본을 준비한다.
트라이볼로지, 영역 II 요원에게 요구되는 역량과 기술
영역 Ⅱ로 분류되는 요원은 제정 및 승인된 절차에 따라 기본적인 현장 윤활제 시험 및 분석을 수행할 수 있는 자격이 부여되며, 다음과 같은 사항을 할 수 있어야 한다.
- a) 기본적인 현장 시험(on-site testing)을 위한 계기를 설치한다.
- b) 현장 시험에 사용되는 계기에 대한 보정 검사를 수행한다.
- c) 표본 채취, 준비 및 운송에 대한 절차를 확립한다.
- d) 표본화 위치 장소, 방법 및 장치를 선정하고 표본화 장치의 설치를 감독한다.
- e) 현장 시험과 마멸 입자 분석을 위하여 미리 선정된 시험방법을 적용한다.
- f) 현장 외부(off-site)의 실험실과 연락한다.
- g) 적용 가능한 시방서와 표준에 따라 기본 시험 결과(허용 시험 포함)를 분류하고 해석하며 평가한다.
- h) 윤활제, 기계 및 부속품의 고장을 추적하기 위한 기본적인 윤활제 분석 기법을 적용한다.
- i) 분석 스케줄, 결과 및 진단에 사용되는 데이터베이스를 유지 관리한다.
- j) 기본적인 윤활제 및 기계 상태에 대해 해당 요원에게 보고 사항을 준비하고, 교정 작업(비해체적 정비)을 권고하며 수리/교환의 유효성에 대해 보고한다.
- k) 대체 또는 보조적인 상태 감시 기술의 사용에 대해 알아야 한다.
- l) 영역 Ⅰ 요원에 대한 지도와 감독을 한다.
트라이볼로지, 영역 III 요원에게 요구되는 역량과 기술
영역 Ⅲ으로 분류되는 요원은 제정 및 승인된 절차에 따라 모든 형태의 현장 윤활제 시험 및 분석을 수행 및 감독할 수 있는 자격이 부여되며, 다음과 같은 사항을 할 수 있어야 한다.
- a) 시험방법, 표준, 코드, 시방서 및 기본적인 분석 절차를 해석하고 평가한다.
- b) 적절한 기계 윤활제 분석 기법을 선정한다.
- c) 휴대용 및 영구적으로 설치된 시스템 관리를 위하여 필요한 적절한 계측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올바르게 지정한다.
- d) 보정 프로그램을 디자인하고 관리한다.
- e) 주기적/연속적 감시용 기계, 시험 주파수 및 방식, 과정 계획 등과 성능 보증 시험의 결정을 포함하는 윤활제 감시 프로그램을 수립한다.
- f) 기계류의 목적, 경보 및 제한사항에 대한 시방서를 위한 프로그램을 설정한다.
- g) 고급 현장 시험과 마멸 입자 분석을 수행한다.
- h) 적용 가능한 시방서와 표준에 따라 고급 시험 결과와 마멸 입자 분석(허용 시험 포함) 결과를 분류하고 해석하며 평가한다.
- i) 윤활제 해석 소프트웨어와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행정적 임무를 관리하고 수행한다.
- j) 고장 모드, 영향 및 신뢰성 분석(FMECA)을 수행한다.
- k) 고장 상태에 대한 예측 진단(prognostics)을 수행한다.
- l) 외부 윤활제 분석 서비스의 수행을 평가하고 필요한 수정 교체를 추천한다.
- m) 윤활제 및 기계 상태에 대한 고급 윤활제 시험과 마멸 입자 해석에 근거하여 해당 요원에게 보고서를 준비한다.
- n) 주요 정비에 대한 교정 작업을 추천하고[일반적으로 해체(intrusive) 정비의 경우], 수리 및 교환의 유효성에 대해 보고한다.
- o) 상태 진단 프로그램의 관리, 경고값들의 설정, 작업 절차서의 작성을 행할 수 있어야 하며, 허용시험 절차를 명시할 수 있어야 한다.
- p) 대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상태 감시(CM) 기술을 추천한다.
- q) 기 발생한 데이터에 근거하여 현재 사용 중인 윤활제를 검토하고, 성능 향상의 관점에서 필요한 윤활제 시방서 변경을 포함하는 추천을 행한다.
- r) 베어링에서의 로터의 안정성, 터빈 제어 계/시스템의 안정성, 기어의 마멸 및 유체동역학 시일 등에 영향을 미치는 물리적/화학적 변수들을 평가한다.
- s) 영역 Ⅰ 및 Ⅱ 요원에 대한 지도와 감독을 한다.
영역 Ⅲ으로 분류되는 요원이 예산안의 편성, 원가 정당성의 준비, 요원 발굴 및 관리와 같은 관리 기술에 있어서 필요한 능력을 갖추고 있음을 보장하는 것은 고용자의 책임이다.
열화상, 영역 I 요원에게 요구되는 역량과 기술
영역 Ⅰ로 분류되는 요원은 제정 및 승인된 절차에 따라, 적외선 열화상 측정을 수행할 수 있는 자격이 부여되며, 다음과 같은 사항을 할 수 있어야 한다.
- a) 정해진 열화상 측정 기술을 적용할 수 있다.
- b) 안전한 열화상 자료 수집을 위해 열영상 장비를 설치하고 작동할 수 있다.
- c) 불량 데이터와 오류 원인을 확인하고 방지하며 기본적인 분석 최소화할 수 있다.
- d) 정해진 지침에 따라 기본적인 고장 감지, 가혹도 평가 및 진단을 수행할 수 있다.
- e) 기본적인 영상 처리(측정 도구, 방사율 조정, 스팬 및 스케일 조정 등)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 f) 결과 및 경향의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할 수 있다.
- g) 온도 기록 측정 장비의 보정을 확인할 수 있다.
- h) 시험 결과 및 관련 분야를 평가하고 보고할 수 있다.
열화상, 영역 II 요원에게 요구되는 역량과 기술
영역 Ⅱ로 분류되는 요원은 제정 및 승인된 절차에 따라, 적외선 열화상 측정을 수행할 수 있는 자격이 부여되며, 다음과 같은 사항을 할 수 있어야 한다.
- a) 적절한 적외선 열화상 기술을 선정하고 이 기술의 한계점을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
- b) 측정과 조사 결과의 해석을 포함하는 열화상 이론과 기술을 적용할 수 있다.
- c) 적절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지정할 수 있다.
- d) 고급 고장 진단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 e) 적절한 현장형 교정 작업에 대하여 시정 조치에 대한 조언할 수 있다.
- f) 고급 영상 처리[영상, 경향, 몽타주, 영상 차감(subtraction), 영상 복합(overlap), 통계 분석 등]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 g) 정해진 절차에 따라 적외선 열화상과 고장 진단에 대해 일반적으로 인정되는 고급 기술을 사용할 수 있다.
- h) 장비 상태, 고장 진단, 교정 작업 및 수리 작업의 효용성에 대한 보고서를 준비할 수 있다.
- i) 대체할 수 있거나 보조적인 상태 감시 기술들을 적용할 수 있다.
- j) 영역 Ⅰ 요원에 대한 지도와 감독을 할 수 있다.
열화상, 영역 III 요원에게 요구되는 역량과 기술
영역 Ⅲ으로 분류되는 요원은 제정 및 승인된 절차에 따라, 적외선 열화상 측정을 수행할 수 있는 자격이 부여되며, 다음과 같은 사항을 할 수 있어야 한다.
- a) 주기적/연속적인 감시용 장비의 선정, 테스트 빈도, 고급 기술의 적용을 위한 장비 선정을 포함하는 지침 및 절차를 작성하고, 열화상 프로그램을 개발 및 발전시킬 수 있다.
- b) 새로운 장비, 사용 중인 장비 및 고장 난 장비에 대한 가혹 평가와 합격 기준 및 실험 절차를 결정할 수 있다.
- c) 코드, 표준, 시방 및 절차서를 이해하고 평가할 수 있다.
- d) 사용되는 특별한 시험방법, 절차 및 지침을 선정할 수 있다.
- e) 고장 상태에 대한 예측을 수행할 수 있다.
- f) 적절한 형태의 열역학적(복사 기반, 대류 기반, 전도 기반)의 교정을 제안할 수 있다.
- g) 기계공학적인 교정에 있어 적절한 형태의 작업을 권장할 수 있다.
- h) 영역 Ⅰ 및 영역 Ⅱ 요원에 대한 지도와 감독을 할 수 있다.
- i) 대체용 또는 보조용 상태 감시 기술의 사용을 추천할 수 있다.
- j) 상태 감시 프로그램을 운영할 수 있다.
영역 Ⅲ 요원이 예산안의 편성, 원가 정당성의 준비, 요원 발굴 및 관리와 같은 관리 기술에 있어서 필요한 능력을 갖추고 있음을 보장하는 것은 고용자의 책임이다.
초음파, 영역 I 요원에게 요구되는 역량과 기술
영역 I로 분류되는 요원은 제정 및 승인된 절차에 따라 초음파 측정을 수행할 수 있는 자격이 부여되며, 다음과 같은 사항을 할 수 있어야 한다.
- a) 명시된 초음파 측정 기술을 적용한다. 그러나 영역 I로 분류된 요원이 시험방법이나 기술을 선택 할 능력을 보유했다고 간주해서는 안 된다.
- b) 안전하게 초음파 데이터 수집용 초음파 장비를 설치하고 작동한다.
- c) 수집된 데이터의 결함이 없음를 확인하고, 부실한 데이터와 오류의 원인을 예방하고 제어한다.
- d) 설정된 지침에 따라 기본적인 결함 탐지, 가혹도 분석 및 진단을 수행한다.
- e) 작성된 기준에 의거하여 결과를 기록하고 분류한다.
- f) 결과 및 경향의 데이터베이스를 유지한다.
- g) 초음파 측정 장비와 시스템의 감도를 확인한다.
- h) 관심 분야을 강조하는 지침에 따라 실험 결과를 평가하고 이를 보고한다.
- i) 품질이 떨어지는 데이터를 수집하게 된 요인을 인지하고 예방하거나 관리할 수 있다.
초음파, 영역 II 요원에게 요구되는 역량과 기술
영역 II로 분류되는 요원은 확립되고 인정된 절차에 따라 초음파분석을 수행 및/또는 지시할 자격이 부여되며, 초음파 방법의 한계를 알고 있고, 다음과 같은 사항을 할 수 있어야 한다.
- a) 적절한 초음파 측정기술을 선정하고 그 한계를 이해한다.
- b) 적절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구체적으로 명시한다.
- c) 장비 세팅을 하고 이를 확인한다.
- d) 절차가 없는 부분에 초음파 이론과 기법을 적용한다.
- e) 진폭, 주파수, 시간 영역의 분석을 포함한 초음파 신호의 측정 및 진단을 수행한다.
- f) 기본적인 분석 적용 코드, 표준, 사양설명서, 절차에 따라 (승인 시험을 포함하여) 시험 결과를 분류하고 평가한다.
- g) 장비 상태 결함 진단에 대한 보고서를 준비하고, 적절한 시정조치를 제시하며, 수리의 효과에 대하여 언급한다.
- h) 영역 I의 초음파 측정 요원에게 기술적인 지도를 한다.
- i) 대체 또는 보조 상태 감시 기술을 이해한다.
초음파, 영역 III 요원에게 요구되는 역량과 기술
영역 III으로 분류되는 요원은 모든 형태의 초음파 측정과 분석을 수행 및 감독할 수 있는 자격이 부여되며, 다음과 같은 사항을 할 수 있어야 한다.
- a) 진폭, 주파수, 시간 영역 처리와 같은 측정과 조사 결과의 해석을 포함하여 초음파 이론과 기술을 적용한다.
- b) 한계를 포함하여 데이터 분석을 이해하고 수행한다.
- c) 필요한 초음파 데이터 수집 시스템 및 구성 어셈블리들을 결정한다.
- d) 초음파 감시 및 결함 진단을 위한 비표준 기술을 사용한다.
- e) 표준, 코드, 사양설명서, 절차를 이해하고 평가한다.
- f) 정기적/연속적 감시를 위한 요구조건, 시험의 주기 등의 결정을 포함하여 초음파 프로그램, 절차 및 지침을 개발하고 설정한다.
- g) 신규, 사용 중 그리고 결함 있는 장비에 대한 심각도 평가 승인기준을 결정한다.
- h) 진폭, 주파수, 시간 영역의 초음파 신호 분석의 고급 진단 및 예후를 측정 수행한다.
- i) 대체 또는 보완 상태 감시 기술을 권장한다.
- j) 영역 I과 영역 II 요원에 대한 지도와 감독을 한다.
비고 고용주는 영역 III의 요원이 예산 작성, 비용 정당화 준비, 인력개발의 관리 등 필요한 관리 기술에 대해서 필수적인 역량을 갖추고 있음을 증명할 책임이 있다.
빅데이터 이해
오늘날 모든 비즈니스에서 데이터의 진정한 가치를 찾아내는 것이 중요합니다. 하지만 비즈니스 인사이트를 찾아내기 전에 모든 관련 소스를 통해 이러한 데이터에 정확하고 안전하며 신속하게 액세스할 수 있어야 합니다. 이를 위해 어떻게 해야 할까요? 멀티플 데이터 소스를 통합하고 온프레미스와 클라우드 경계에서 워크로드를 전환할 수 있는 기반이 구축되어야 합니다.
빅데이터란 무엇일까요?
빅데이터는 전통적인 데이터 프로세싱 방법으로 처리할 수 없을 정도로 대규모이거나 복잡한 데이터입니다. 빅데이터는 흔히 'Three V'로 불리는 볼륨(Volume), 다양성(Variety), 속도(Velocity)라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볼륨은 대규모 크기를 의미하며, 다양성은 비표준 형식의 광범위한 범위를 그리고 속도는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처리되어야 하는 특성을 의미합니다.
빅데이터가 중요한 이유
데이터는 이를 보호 및 처리하고 이해하여 활용할 수 있을 때에만 진정한 가치를 지닙니다. 빅데이터를 활용하는 목표는 실시간 정보를 제공하여 이를 통해 비즈니스를 개선하도록 하는 것입니다. 실시간 정보 처리는 일관되고 원활하게 고객에게 가치를 제공하고자 노력하는 기업들의 주요 목표 중 하나이며, 엣지 컴퓨팅의 중요한 특징 중 하나입니다. 빅데이터에서 얻은 인사이트를 활용하면 비용을 절감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비즈니스를 운영하고 수익을 높이며 신규 고객을 확보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찾을 수 있습니다.
빅데이터 분석 및 IT 최적화
빅데이터 분석이란 모든 원시 기본적인 분석 데이터 및 다크 데이터를 사용자가 이해하고 사용할 수 있는 형태로 만드는 프로세스를 뜻합니다. 다크 데이터는 기업이 정상적인 비즈니스 활동에서 수집한 데이터로 규정 준수를 위해 안전하게 저장되어야 합니다. 다크 데이터는 간과되는 경우가 많지만 나머지 데이터와 마찬가지로 비즈니스 개선에 도움이 되는 가치 있는 인사이트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빅데이터 인사이트를 활용하면 사전에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므로 비용을 지불할 필요가 없어집니다. 데이터 패턴을 분석하여 고객 행동과 요구사항을 추측이 아닌 예측을 할 수 있으므로 수익 증대에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보다 효과적인 결과를 얻으려면 유연하고 포괄적이며 신뢰성이 높은 기반에서 분석 소프트웨어를 실행해야 합니다. IT 최적화가 핵심 요소인 이유가 여기에 있습니다. 기술 스택이 변화함에 따라 데이터를 계속해서 수집, 분석 및 사용할 수 있어야 합니다.
데이터 레이크, 데이터 늪, 빅데이터 스토리지
데이터 레이크는 사용자가 가진 데이터와 정확히 일치하거나 거의 일치하는 복사본을 단일 위치에 저장하는 리포지토리입니다. 데이터 레이크는 데이터에 대해 전체적인 대규모 리포지토리를 원하는 엔터프라이즈 환경에서 보편화되고 있으며, 데이터베이스보다 비용이 저렴합니다.
데이터 레이크는 정제되지 않은 데이터를 볼 수 있도록 하여 우수한 애널리스트가 전통적인 데이터 스토리지(예: 데이터 웨어하우스) 외부에서 그리고 기록 시스템(지정된 데이터 요소에 대해 권한이 있는 데이터 소스)과 상관없이 구체화 및 분석 기술을 탐색할 수 있습니다. 고도로 숙련된 애널리스트가 계속해서 기술 역량을 개선하고 새로운 데이터 분석 방법을 탐색하기를 원한다면 데이터 레이크를 활용해야 합니다.
데이터 레이크는 지속적으로 유지관리해야 하며 데이터를 사용하고 액세스하는 방법에 대한 계획을 수립해야 합니다. 제대로 유지관리하지 않으면 데이터 관리가 어렵고 비용이 많이 들며 쓸모없는 액세스 불가능한 정크가 될 위험이 있습니다. 이처럼 사용자가 액세스할 수 없는 데이터 레이크를 "데이터 늪(data swamp)"이라고 합니다.
대규모 조직에는 고유한 데이터 요구 사항을 갖는 여러 개의 비즈니스 단위(Business Unit, BU)가 있습니다. 이들 각 BU는 데이터 분석을 위해 데이터 및 인프라에 액세스할 때 어떤 식으로든 경쟁해야 하는데 이는 리소스 문제 때문입니다. 데이터 레이크가 이 문제를 해결해주지는 못합니다. 대신 공유 데이터 컨텍스트를 사용한 멀티테넌트 워크로드 격리가 필요합니다. 이는 무슨 의미일까요?
이 솔루션을 활용하면 기본적으로 새로운 비즈니스 단위에서 액세스(데이터 복사 및 모든 작업을 할 수 있는 스크립트 작성 관리 업무를 포함한 전체 액세스)할 때마다 매번 데이터의 전체 복사본을 만드는 대신 이 솔루션을 활용하면 데이터 분석 툴 컨테이너화 또는 가상화를 통해 조직에서 BU 전체에 공유할 수 있는 일부의 복사본만 페어링하면 됩니다.
빅데이터 통합에서 IT 과제
빅데이터는 애자일 통합 과제입니다. 엄격한 서비스 수준 계약을 유지관리하는 동시에 여러 비즈니스 단위 간에 데이터를 공유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보유하고 있는 데이터를 활용하여 어떻게 더 많은 가치를 실현할 수 있을까요?
빅데이터 마이닝은 복잡하지만 얻을 수 있는 것이 많습니다. 데이터 과학자들은 데이터 분석을 통해 비즈니스에 제공할 인사이트와 권장 사항을 얻습니다. 데이터 엔지니어는 데이터 과학자를 가장 잘 지원할 수 있는 데이터 파이프라인에 적합한 툴을 식별, 조합 및 관리해야 합니다. 마지막으로 인프라 측면에서는 관리자들이 인프라 내부 깊숙한 곳에서 작업하며 사용자를 위한 기본 서비스를 제공해야 합니다. 이 모든 과정에 통합, 스토리지 용량 및 부족한 IT 예산 문제가 있습니다.
기본적인 분석
해외 기업에 기본적인 분석 대한 투자 목적은 아니고, 어디까지나 국내 주식에 대한 투자의 연장선상에서 해외 기업을 이해하고자 해외 주요 기업들의 기본적인 내용에 대한 분석을 하고 있습니다. 블로그에 올리는 종목으로는 첫 번째 입니다.
깊이 있는 분석은 아니고, 국내 투자자로서 해외 기업에 대해 이해할 수 있는 가장 기본적인 정보를 파악하기 위함입니다. 해당 정보는 구글의 2019년 결산 보고서 10-K (2020년 2월 4일 업로드) 내용입니다.
사업 내용 및 이익의 구성
Alphabet은 구글의 모회사, 사실상 구글입니다. 알파벳 매출의 대부분은 광고수익이 차지합니다 (약 83%). 유튜브 및 검색광고와 같은 자체 지면과, 외부 지면의 광고매출로 구성됩니다. 구글 검색광고가 주 수익원이며, 그 외 안드로이드, 크롬, 클라우드, 구글지도, 구글플레이 앱 판매 등의 매출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광고 클릭 수의 증가 및 클릭 단가가 매출을 결정합니다. 클릭 수의 증가는 최근 유튜브 광고 및 모바일 광고의 증가가 성장 요인이었습니다. 클린 단가는 접속 단말기 Mix, 지역 Mix와 환율 등에 복합적인 영향을 받아 예측하기가 어렵습니다. 아래는 구글의 주요 매출 구성과 시계열 데이터입니다.
자체 작성, 출처 EDGAR
주된 비용
매출원가의 40%는 외부 광고지면에 대한 사용료입니다. 이 때문에 지면에 대한 사용료가 나갈 필요 없는 자체 지면의 수익성이 월등히 높습니다. 그 외 주요 비용은 연구개발비, 광고 완련 투자, 안드로이드/크롬에 대한 투자, 클라우드 AI 개발에 지출됩니다. 비광고매출의 경우 데이터센터 운영 및 콘텐츠 비용 발생으로, 광고매출 대비 대체로 높은 원가율을 보입니다.기본적인 분석
그 외로, 유럽연합의 반독정 관련 과징금으로 2018년 43억 유로의 벌금을 받았으며(한화 약 5조원), 이는 2018~2019 손익계산서에 반영되어있씁니다.
아래는 주요 주주 구성 및 주가와 Valuation입니다. 구글은 의결권의 수가 1개인 A주 , 10개인 B주, 우선주 C주로 총 3가지 주식이 있으며, A주와 C주만 상장되어있고 B주는 주로 경영진이 보유하고 있습니다.
자체 작성, 출처 EDGAR
0 개 댓글